Modern Javascript Deep Dive - 11장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자바스크립트가 제공하는 7가지 데이터 타입은 크게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다르다.

  •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이다. 이에 비해 객체(참조)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mutable value)이다.
  •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이 저장된다. 이에 비해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
  •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값에 의한 전달(pass by value)이라 한다. 이에 비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pass by reference)라 한다.

1. 원시 값

1.1 변경 불가능한 값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 한 값이다. →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 값은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 변경 불가능하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값에 대한 진술이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이다”는 말은 원시 값 자체를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지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다. 변수는 언제든지 재할당을 통해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변수의 상대 개념인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를 말한다.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const o = {};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에 할당한 원시 값(상수)은 변경할 수 없다.
// 하지만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에 할당한 객체는 변경할 수 있다.
o.a = 1;
console.log(o); // { a: 1 }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재할당 이전의 원시 값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원시 값을 저장한 후, 변수는 새롭게 재할당한 원시 값을 카리킨다. →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가 바뀐다.

1.2 문자열과 불변성

ECMAScript 사양에 문자열 타입(2바이트)과 수자 타입(8바이트) 이외의 원시 타입은 크기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는 않아서 브라우저 제조사의 구현에 따라 원시 타입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문자열은 0개 이상의 문자(Character)로 이뤄진 집합을 말하며, 1개의 문자는 2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 문자열 몇개의 문자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필요한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결정된다.

// 문자열은 0개 이상의 문자로 이뤄진 집합
var str1 = ''; // 0개의 문자로 이뤄진 문자열(빈문자열)
var str2 = 'Hello'; // 5개의 문자로 이뤄진 문자열

자바스크립트는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원시 타입의 문자열 타입을 제공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문자열은 원시 타입이며, 변경 불가능하다.

→ 문자열이 생성된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var str = 'Hello';
str = 'world';

이 경우 식별자 str은 문자열 ‘Hello’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다 두번째 문이 실행되면 ‘world’ 문자열을 새로운 메모리에 생성하고 str은 이것을 가리키게 된다.

문자열은 유사 배열 객체이며 이터러블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다.

var str = 'string';

console.log(str[0]); // s
console.log(str.length); // 6
console.log(str.toUpperCase()); // STRING

1.3 값에 의한 전달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 80
console.log(copy); // 80

score = 100;

console.log(score); // 100
console.log(copy); // 80

변수에 변수를 할당했을 때는 어떻게 전달될까?

copy = score 에서 score는 변수 값 80으로 copy 변수에도 80이 할당된다. 이때 새로운 숫자 80이 생성되어 copy 변수에 할당된다.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copy)에는 할당되는 변수(score)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 값에 의한 전달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copy); // 80, 80
console.log(score === copy); // true

score, copy의 값은 80이지만 각자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다.

만약 score 변수의 값을 변경한다면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copy); // 80 80
console.log(score === copy); // true

score = 100;

console.log(score, copy); // 100 80
console.log(score === copy); // false

참고로 “값에 의한 전달” 이라는 용어는 자바스크립트를 위한 용어가 아니므로 오해가 생길 수 있다.

엄격하게 표현하면 변수에는 값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가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는 변수와 같은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식별자로 값을 구별해서 식별한다는 것은 식별자가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식별자는 메모리 주소에 붙인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2. 객체

객체는 프로퍼티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동적으로 추가되고 삭제할 수 있다.

→ 객체는 원시 값과 같이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사전에 정해 둘 수 없다.

2.1 변경 가능한 값

객체(참조)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mutable value)이다.

var person = {
  name: 'Son',
};

객체를 할당한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참조 값(reference value)에 접근 할 수 있다.

// 할당이 이뤄지는 시점에 객체 리터럴이 해석되고, 그 결과 객체가 생성된다.
var person = {
  name: 'Son',
};

// person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값으로 실제 객체에 접근한다.
console.log(person); // { name: "Son" }

객체를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없이 객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

→ 재할당 없이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도 있고 프로퍼티 값을 갱신할 수도 있으며 프로퍼티 자체를 삭제할 수도 있다.

// 할당이 이뤄지는 시점에 객체 리터럴이 해석되고, 그 결과 객체가 생성된다.
var person = {
  name: 'Son',
};

// 프로퍼티 값 갱신
person.name = 'Sunny';

// 프로퍼티 동적 생성
person.address = 'Seoul';

console.log(person); // { name: "Sunny", address: "Seoul }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식은 매우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다.

→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리고 객체를 복사해 생성하는 비용을 절약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객체는 구조적 단점에 따른 부작용이 있다.

→ 여러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얕은 복사 & 깊은 복사

const o = {
  x: {
    y: 1,
  },
};

// 얕은 복사
const c1 = { ...o };
console.log(c1 === o); // false
console.log(c1.x === o.x); // true

// clondeDeep을 사용한 깊은 복사
const _ = require('lodash');
// 깊은 복사
const c2 = _.cloneDeep(o);
console.log(c2 === o); // false
console.log(c2.x === o.x); // false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로 생성된 객체는 원본과는 다른 객체다.

얕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 있는 객체의 경우 참조 값을 복사하고 깊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 있는 객체까지 모두 복사해서 원시값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든다.

참고로 다음과 같이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깊은 복사, 객체를 할당한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얕은 복사라고 부른 경우도 있다.

const v = 1;

// 깊은 복사 라고도 한다.
const c1 = v;
console.log(c1 === v); // true

const o = {
  x: 1,
};

// 얕은 복사 라고도 한다.
const c2 = o;
console.log(c2 === o); // true

2.2 참조에 의한 전달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 무엇이며 어떤 부작용이 발생하는지 확인해보자.

var person = {
  name: 'Son',
};

var copy = person;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원본, person)를 다른 변수(사본, copy)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 이라 한다.

메모리는 서로 다르지만 원본 person과 사본 copy 모두 동일한 객체를 가리킨다.

→ 원본 또는 사본 중 어느 한쪽에서 객체를 변경하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var person = {
  name: 'Son',
};

var copy = person;

console.log(copy === person); // true

// copy를 통해 객체 변경
copy.name = 'Sunny';
// person을 통해 객체 변경
person.address = 'Seoul';

console.log(person); // { name: 'Sunny', address: 'Seoul' }
console.log(copy); // { name: 'Sunny', address: 'Seoul' }

**값에 의한 전달참조에 의한 전달은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복사해서 전달한다는 면에서 동일하다.**

다만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 즉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원시 값이냐 참조 값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 자바스크립트에는 “값에 의한 전달” 만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var person1 = {
  name: 'Son',
};

var person2 = {
  name: 'Son',
};

console.log(person1 === person2); // false : 참조 값은 전혀 다른값
console.log(person1.name === person2.name); // true :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

Written by@Sunny Son
개발자는 오늘도 뚠뚠

GitHubFacebook